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원인중에 하나는 비만정체기때문인데요.
비만정체기는 살이 빠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몸속에 정체된 지방
이 지방을 태우는 속도보다 쌓이는 속도가 더 빠른 것
지방을 태우는 속도가 문제
다이어트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비만정체기
사실 또 비만정체의 다른 문제가
몸속에 지방이 염증성 물질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만정체기를 오래 겪을수록 건강문제는 더 심각해집니다.
심뇌혈관 질환 및 암 발생에 위험을 높이는 비만정체기
비만 환자의 암 발생률
남성은 14%, 여성은 20%
증가했습니다.
(출처: 미국 의학 잡자)
비만정체기는 질병에 영향을 주고 생명까지 위협합니다.
음식 섭취량의 문제가 아니다
다이어트하면서 식사량을 줄이면서 생기는 문제인데요.
에너지 소비를 돕는 기초대사량 감소하면서
살이 빨리 찌는 체질로 변한다는 것
그래서 섭취한 음식 에너지가 아닌 지방으로 축적되고
요요 부작용이 찾아오는 이유입니다.
다이어트에 핵심은 무엇을 먹느냐, 먹지 않느냐가 아니다!
지방을 태우는 체질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 태우는 속도를 높이는 핵심 열쇠는 UCP를 올려라 입니다.
UCP단백질
UCP(Uncoupling protain)을 뜻하는데요.
지방 연소를 촉진하는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지방을 태우는 속도를 결정하는 열쇠인 UCP 단백질
그래서 중요성이 커지는데요.
실험에서 UCP 단백질이 많은 신체가
지방을 빠르게 녹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UCP 활성도가 감소하면
지방을 태우는 속도도 저하된다.
UCP 활성도로 결정되는 지방 태우는 속도
몸속 용광로 UCP 단백질
UCP 단백질이 작동하지 않는 사람이 있는데요.
바로 UCP 단백질이 부족한 중장년층입니다.
연령대별 기초대사량과 체지방률의 변화를보면
나이가 들수록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체지방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중년 여성이 더 위험한데요.
중년 여성의 신체 변화를 보면
갱년기 후에
체지방 3.4%, 허리둘레 5.7cm 증가했다.
(출처: 대한 갱년기학회)
이런 원인을은 UCP 단백질이 부족해서인데요.
운동을 하면 UCP 단백질을 채울 수 있을까?
안타갑지만 운동을 한다고 UCP 단백질 채울 수 없습니다.
밥 한 공기 열량은 300kcal인데요.
300kcal를 소비에 필요한 운동량
요가 12분
격렬한 달리기 12분
계단 오르기 60분
걷기 운동 2시간
자전거 타기 43분
줄넘기 28분
크런치(무산소 운동) 28분
등산 60분
고작 300kcal를 소비하기 위해 많은 운동이 필요합니다.
그만큼 운동만으로 살을 빼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게 되면 지방 태우기 힘들다는 것
이 UCP 단백질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 증가로
지방을 빠르게 태우는 체질로 바꿔준다는 것
그래서 UCP 단백질로 보충으로 다이어트 도움을 받으세요.
다른 건강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