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정부 정보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2023. 4. 14.

2023년 중위소득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해마다 중위소득에 변경이 있기 때문에 몇년도에 값인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중위소득은 소득에 전체 범위에서 중간값으로 정해집니다.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 100%는 중간값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2023년 중위소득 계산방법

보건복지부 장관은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한다. 매년 8월 1일까지 다음 연도의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공표하여야 하므로 기준 중위소득도 매년 8월 1일까지 공표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전체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30%
623,368 1,036,846 1,330,445 1,620,289
40%
831,157 1,382,462 1,773,926 2,160,386
47%
976,609 1,624,393 2,084,363 2,538,453
50%
1,038,946 1,728,077 2,217,408 2,700,482
60% 1,246,735 2,073,693 2,660,890 3,240,578
70% 1,454,524 2,419,308 3,104,371 3,780,675
80% 1,662,314 2,764,924 3,547,853 4,320,771
90% 1,870,103 3,110,539 3,991,334 4,860,868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11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120% 2,493,470 4,147,386 5,321,779 6,481,157
130% 2,701,260 4,493,001 5,765,261 7,021,253
140% 2,909,049 4,838,617 6,208,742 7,561,350
150% 3,116,838 5,184,232 6,652,224 8,101,446

중위소득100%가 기준 중위소득을 나타냅니다. 앞에서 말했지만 전체 소득자에 평균을 중간값으로 복지 지표로 활용합니다.

 

◾ 중위소득 30% 이하 : 생계급여 수급기준

◾ 중위소득 40% 이하 : 의료급여 수급기준

◾ 중위소득 47% 이하 : 주거급여 수급기준

◾ 중위소득 50% 이하 : 교육급여 수급기준

 

위에 표에서 소득이 중위소득 어디 범위에 들어가지는에 따라서 복지해택을 받는 기준이 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