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복권에 대한 세금이 바뀌면서 로또는 3등과 연금복권 3등에 세금이 없어졌습니다. 3등 당첨금은 대부분 100만 원대인데, 이 금액에 세금은 너무 심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이제야 바뀌게 돼서 다행입니다. 연금복권 720 당첨확인 하는 방법과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2023년 1월 1일 부터 복권 당첨금 비과세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5만 원 초과 ~ 200만 원 이하에 과세 규정이 비과세로 변경되면서 세금을 안내도 됩니다. 연금복권 3등은 100만 원에 세금을 빼서 받았지만 이제는 100만 원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복권 당첨 번호 확인방법
일단 추첨 시간부터 알아보면 MBC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5분경에 생방송으로 진행됩니다. 당첨번호 확인하는 방법은 그냥 네이버에서 검색해도 되지만 추첨 후 바로 나오는게 아고 일일이 숫자를 찾기가 귀찮습니다. 때문에 어플에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저는 동행복권 어플을 이용하는데요. 왼쪽 사진처럼 어플에 들어가면 오른쪽 상단에 QR코드 스캔 버튼을 눌러서 연금복권에 나와있는 QR코드를 스캔 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간단한 방법으로 네이버에서 [연금복권]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밑에 [QR코드 확인]을 눌러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는 추천 후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공식 동행복권 사이트(연금복권 당첨번호 확인하기)에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연금복권 실수령액
연금복권 1등 부터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당첨은 번호 뒷번호부터 확인하면 됩니다.
1등 추첨번호를 보고 뒷번호부터 맞는지 확인해서 당첨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1등 월 700만원 X 20년 = 16억 8천만 원
세금 22%를 제외한 실수령액은 546만원 X 20년 = 13.1억
▪︎ 2등 월 100만원 X 10년 = 1억 2천만 원
세금 22%를 제외한 실수령액은 78만 원 x 10년 = 9,360만 원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당첨금 지급 방법
당첨금
|
지급장소 | 준비물 | ||
판매점 | 인터넷 | 판매점 | 인터넷 | |
연금식 당첨금
(1등, 2등, 보너스) |
(주)동행복권 |
동행복권 사이트
|
당첨복권, 신분증, 통장사본 |
실명인증
(주민등록번호 등록) |
5만원 초과 ~ 200만원 이하
(3등, 4등) |
NH농협은행 전국지점 | 당첨복권, 신분증 |
지급신청 완료 시
예치금 계좌로 자동 입금 |
|
5만원 이하 (5등, 6등, 7등) |
복권판매점 | 당첨복권 |
예치금 계좌로 자동 입금
|
연금복권 1등은 일시불로 받을 수 있나요?
연금보권 1등 16억 8천만 원은 일시불로 받을 수 없습니다. 무조건 연금 형식으로 20년 동안 받아야 하고 만약 사망 시 법적으로 상속도 된다고 합니다.
복권은 일반적으로 5억이 넘어가면 33%에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연금복권은 예외로 22%에 세금을 납부합니다. 로또보다 장점이 있지만 일시불로 받을 수 없는 게 치명적인데요. 사실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면 미래에 돈에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연금방식은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